한국족보정보 : Genealogy Of Korea (GOK)

  • [뿌리찾기] 본관, 성씨, 족보 책 이름, 발간 연도, 소장처 등의 상세한 조건 검색으로 한 번에 조상의 인터넷 족보를 열람해보세요.
  • [가문정보] 본관/성씨별 인구통계, 가문 설명, 분파, 항렬, 역사적 인물 정보를 찾아보세요. 수정, 보완할 점은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 계속 내용을 올리고 있습니다만 여러분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합니다. 수정 보완할 점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알려주세요. 내용에 반영하겠습니다.

집안 설명 ... 가문 찾기 화면으로

가문 이름 영해(寧海)박씨(朴氏) ( )
시조 박제상(朴堤上)
설명
영해박씨(寧海朴氏) 시조 박제상(朴堤上)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 제 5대 파사왕의 5세손인 파진찬(波珍飡) 물품(物品)의 아들로서 실성왕 때 일본의 화친 동맹을 맺자는 간계에 의해 내물왕의 아들인 미사흔(未斯欣)을 보냈는데 후에 미사흔의 형인 눌지왕이 즉위하여 억류된 아우의 귀환을 여러 차례 요구했으나 번번이 거절당하였다. 이때 삽량주간(歃良州干)이었던 그가 율포(栗浦:지금의 경주시 남양면 하서리)에서 배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미사흔을 신라로 돌려보내고, 자신은 왜왕에게 모진 고초를 당한 후 목도(木島)로 귀양 보내져서 화형당하고 말았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눌지왕은 치술령(致述嶺)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지내게 하였다고 한다.
박제상의 아들은 백결선생(百結先生)으로 불린 박문량(朴文良)이다. 그 후 박제상의 26세손 박명천(朴命天)이 고려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삼중대광벽상공신(三重大匡壁上功臣)으로 예원군(禮原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은 영해(寧海)를 본관으로 하여 박제상을 시조로 하고 박명천을 중시조(中始祖)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분파/항렬
역사적 인물
박경(朴經)
박경운(朴景雲)
박계진(朴季振)
박구(朴球)
박기동(朴璣東)
박기영(朴耆榮)
박기운(朴己云)
박내원(朴來遠)
박내준(朴來駿)
박노수(朴魯洙)
박노영(朴魯榮)
박동제(朴東濟)
박득순(朴得錞)
박로(朴輅)
박률(朴嵂)
박명벽(朴命壁)
박명벽(朴命璧)
박명준(朴命浚)
박명철(朴命澈)
박명학(朴命嶨)
박명협(朴命浹)
박명홍(朴命鴻)
박문한(朴文漢)
박문호(朴文鎬)
박문홍(朴文泓)
박보영(朴普榮)
박분(朴蕡)
박사섭(朴師燮)
박사태(朴師泰)
박상만(朴尙蔓)
박상연(朴尙筵)
박세화(朴世和)
박수현(朴守賢)
박순(朴淳)
박승연(朴承然)
박승헌(朴承𨯶)
박승혁(朴承)
박승훈(朴承)
박승훈(朴承鑂)
박시영(朴時榮)
박시준(朴時俊)
박시진(朴始振)
박신영(朴愼榮)
박언황(朴彦璜)
박영(朴泳)
박옹(朴蓊)
박용(朴溶)
박욱(朴昱)
박원계(朴元桂)
박원영(朴元榮)
박유경(朴有慶)
박유명(朴由明)
박유상(朴有常)
박유성(朴有性)
박유신(朴有信)
박유은(朴有恩)
박유항(朴有恒)
박유현(朴有賢)
박윤동(朴潤東)
박응량(朴應良)
박응천(朴應天)
박인후(朴仁厚)
박일룡(朴一龍)
박자청(朴子靑)
박재실(朴在實)
박정(朴靖)
박정한(朴鼎漢)
박정환(朴正桓)
박종호(朴宗豪)
박종홍(朴宗弘)
박지영(朴智榮)
박진영(朴晉榮)
박진원(朴鎭元)
박진철(朴鎭喆)
박진형(朴鎭亨)
박진홍(朴鎭弘)
박춘욱(朴春煜)
박춘위(朴春煒)
박치검(朴致儉)
박치규(朴致奎)
박치륜(朴致倫)
박치수(朴致秀)
박태영(朴台榮)
박필영(朴必榮)
박해(朴諧)
박헌영(朴憲永)
박현(朴絢)
박회영(朴晦榮)
박희지(朴希止)
박희현(朴希賢)
지역 경상북도(慶尙北道) 영덕군(盈德郡)

영해 박(朴) 집안의 지역별 인구 통계

아래는 표 밑의 쪽수가 안 보일 때를 대비한 보조용 쪽수입니다.

누군가가 씀 [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 ☞ 덧글
사람 인증
암호